728x90
배열과 변수의 차이
- 배열은 스타트 주소값만 찾으면 연달아 데이터가 있다.
- 변수는 메모리상에 따로 따로 있다.
배열이란
- 같은 타입의 여러 변수를 하나의 묶음으로 다루는 것
- 배열의 각 요소는 서로 연속적이다
- 많은 양의 데이터를 다룰 때 유용하다.
배열의 선언과 생성
- 타입뒤에 대괄호 []를 붙여서 배열을 선언한다.
- 배열은 선언해도 저장할 공간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 배열을 다루는데 필요한 변수가 생성된다.
int[] arr; // 배열 선언
arr = new int[5]; // 배열 생성
배열의 초기화
- 생성된 배열에 처음으로 값을 저장하는 것
int[] arr1 = new int[3]
// int[] arr1 = new int[]{0,0,0}을 생략한 것, 초기값을 생략함
int[] arr2 = {10,20,30};
// int[] arr2가 new를 인식합니다.
다차원 배열 생성 및 출력
int[][] score = {
{100,95,75},
{80,85,95},
{75,65,85}
};
System.out.print(score.length) //3 --> 행의 수
System.out.print(score[0].length) // 해당 행이 가지고 있는 열의 수
for(int i=0;i<score.length;i++){
for(int j=0;j<score[i].length;j++){
System.out.print(score[i][j]+" ");
}
System.out.println(); // 2차원 배열 출력
}
문제1 : 배열에 모든 값 더하기
int[] arr = {10,20,30,40,50};
int sum = 0;
for(int i=0;i<arr.length;i++){
sum += arr[i];
}
System.out.println(sum);
문제2 : 이차원 배열에 값 모두 더한 값과 평균 구하기
int[][] arr7 = { { 5, 5, 5, 5, 5}, {10,10,10,10,10}, {20,20,20,20,20}, {30,30,30,30,30} };
int total = 0;
float average = 0;
for(int i=0;i<arr7.length;i++){
int inTotal = 0;
for(int j=0;j<arr7[i].length;j++){
total += arr7[i][j];
inTotal += arr7[i][j];
}
average += intotal / arr7[i].length;
}
average /= arr7.length;
System.out.println(sum);
System.out.println(average);
문제3: 동전 갯수 계산하기
총액에서 동전 500원, 100원, 50원 10원의 갯수가 몇개가 나오는지 구하라
int[] coinUnit = {500, 100, 50, 10};
int money = 2680;
System.out.println("money="+money);
for(int i=0;i<coinUnit.length;i++) {
int moneyPackage = money/coinUnit[i];
System.out.println(coinUnit[i]+":"+moneyPackage);
money %= coinUnit[i];
}
'KOSTA :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개발 전문가 양성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02 16일차 객체지향언어I : 생성자, 변수의 초기화 (0) | 2024.05.02 |
---|---|
04/30 15일차 객체지향언어I : 변수와 메서드 (0) | 2024.04.30 |
04/25 12일차 (0) | 2024.04.25 |
04/24 11일차 변수, 연산자, 조건문 (0) | 2024.04.24 |
04/23 10일차 인덱스,뷰,시퀀스, JAVA 설치, 변수 (0) | 2024.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