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 완전 로우단언어
C++ - c+oop개념 도입
c# - 완전 oop
Java는 O/S에 상관없이 돌아간다. JDK안에 JRE안에 JVM이 있다.
java는 컴파일언어인가? 인터프리터언어인가?
- 컴파일러는 src에서 bin 파일로 만든다. 소스코드에서 바이트코드로 변환한다.
- 컴파일러는 빠르다.
- 조금이라도 오류가 있다면 구동되지 않는다. 문법오류가 없어야 한다
- 인터프리트는 해석기이다
- 라인 하나하나씩 해석을 한다.
- 느리다
- 문법면에서는 자유롭다.
- 자바는 컴파일러, 인터프리트언어이다.
정수형이 큰가? 실수형이 큰가?
실수가 다루는 수의 범위가 정수형보다 크다. 실수형이 크다.
리터럴과 접미사
- 변수에 타입이 있는 것처럼 리터럴에도 타입이 있다
- 변수의 타입은 저장될 값의 타입에 의해 결정되므로, 리터럴에 타입이 없다면 변수의 타입도 필요없을 것이다.
- (a)정수형과 (b)실수형 리터럴에 접미사를 붙여서 타입을 구분한다.
(a) 정수형
- long타입의 리터럴에 접미사 l 또는 L을 붙인다.
- 접미사가 없으면 int타입의 리터럴이다.
(b) 실수형
- float 타입 리터럴에는 f를 붙인다.
- double 타입 리터럴에는 d를 붙인다.
- double이 기본 자료형이라서 접미사 d는 생략이 가능하다.
문자 리터럴과 문자열 리터럴
- 'A'와 같이 작은따옴표로 문자 하나를 감싼 것을 문자 리터럴이라고 한다.
- "AB"와 같이 두 문자 이상은 큰 따옴표로 감싸야 하며 문자열 리터럴이라고 한다.
- 문자열 리터럴은 안에 아무런 문자도 넣지 않는 것을 허용하며, 이를 빈 문자열이라고 한다.
- 문자 리터럴은 안에 하나의 문자가 있어야 한다.
- 피연산자 중 어느 한 쪽이 String이라면 나머지 한 쪽을 먼저 String으로 변환한 다음 두 String을 결합한다.
정수의 오버플로우
-타입이 표현할 수 있는 값의 범위를 넘어서는 것을 오버플로우이다.
- 최대값 +1 --> 최소값이 된다
- 최소값 -1 --> 최대값이 된다
증감연산자
- 증가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값을 1 증가시킨다.
- 감소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값을 1 감소시킨다.
- 전위형은 값이 참조되기 전에 증감시킨다.
j = ++i
- 후위형은 값이 참조된 후에 증감시킨다.
j = i++
이항연산자
- 연산을 수행하기 전 피연산자의 타입을 일치시킨다
- int보다 크기가 작은 타입은 int로 변환한다.
- 피연산자중 표현범위가 큰 타입으로 형변환한다.
삼항연산자
대입연산자
'KOSTA :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개발 전문가 양성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29 14일차 배열 (0) | 2024.04.29 |
---|---|
04/25 12일차 (0) | 2024.04.25 |
04/23 10일차 인덱스,뷰,시퀀스, JAVA 설치, 변수 (0) | 2024.04.23 |
04/22 9일차 (0) | 2024.04.22 |
04/18 8일차 SQL test ,집합 (UNION, INTERSECT, MINUS) (0) | 2024.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