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 문법 알아보기 Python

입출력_1000 번 : A+B Python

728x90

 

a,b = input().split() // 입력되는 문자를 input() 함수로 받고, split() 함수로 나누어 a,b에 저장
print(int(a)+int(b)) // a,b를 정수형으로 전환하고 계산한 값을 출력

 

 

 split( ) 함수는 입력받는 문자를 나눌 때 사용하는 함수이다. 위 문제에서 보면 숫자 두 개를 한 줄에 입력받는데 두 개의 숫자 사이에는 공백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런 경우에는 공백을 기준으로 숫자를 나누면 된다. 사용 형태는 문자열 뒤에 점을 붙이고 split( )을 써주면 된다. 위에서 input( ). split( )이라고 쓴 것은 입력받는 문자가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나 어떤 문자이건 공백을 기준으로 나누겠다는 의미이다.

괄호 안에 아무것도 넣지 않으면 공백(띄어쓰기, 탭 등)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눈다. 

 

A, B = input( ). split( ) 문장에서 = 왼쪽에 A, B 두 개로 구분한 것은 튜플(tuple) 자료형의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 우측에서 입력받은 문자를 공백을 기준으로 나누게 되면 두 개의 문자로 나누어지게 된다. 그 두 개의 문자를 각각 A, B 변수에 저장하겠다는 의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