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it
Java 진영에서 단위 테스트를 작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애노테이션과 메서드를 지원하는 테스트 프레임 워크입니다.
Junit 장점
Junit의 GUI를 통해 검증 결과의 목록, 실행된 테스트 메서드 수, 테스트 메서드의 검증 시간, 실패 원인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라이브러리만 추가하면 별도의 추가 세팅없이 Junit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를 수행하는 방식
1. 테스트 클래스에서 @Test public void로 정의한 메서드를 모두 찾습니다.
2. 테스트 클래스의 오브젝트를 만듭니다.
3. Set Up 단계 : @Before 메서드를 수행합니다.
4. @Test 단계 : @Test 메서드를 호출하고 테스트 결과를 저장해둡니다.
5. tearDown 단계 : @After 메서드를 실행합니다.
6. 나머지 테스트 메서드에 대해 3~5번 실행합니다.
7. 모든 테스트의 결과를 종합해서 돌려줍니다.
JUnit Life Cycle
Fixture
Setup단계에서 정의한 정보를 뜻합니다. 테스트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나 오브젝트를 픽스쳐라 부릅니다.
Setup단계를 각 메서드전에 실행할 것인지, 테스트 클래스가 실행되는 시점에 실행될 것인지 정의하는 시점을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Fixture Method
@Rule, @Before, @After 메서드들은 메서드 호출 시점에 맞춰 픽스처를 관리해줍니다.
클래스 단위의 픽스처를 관리해주는 테스트 애노테이션도 있습니다.
Annotation
- @Test 메서드
3가지 규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1. 테스트할 메서드에 @Test를 붙입니다.
2. 접근제한자를 public으로 합니다.
3. 리턴 타입은 void로 합니다.
'KOSTA :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개발 전문가 양성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30 74일차 REST란, REST 구성요소, URI vs URL, Http Method에 데이터 받기 (0) | 2024.07.30 |
---|---|
07/25 72일차 ORM,JPA,JPA 인터페이스 (0) | 2024.07.25 |
07/24 71일차 @GetMapping @PostMapping, @RequestBody @ModelAttribute @RequestParam @Pathvarable의 차이점 (0) | 2024.07.24 |
07/23 70일차 프로젝트 발표, Spring boot 설치, Spring Frame (0) | 2024.07.23 |
07/04 57일차 Spring/ OAuth 2 (0) | 2024.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