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1. HTTP 프로토콜
- 정의
-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stateless(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프로토콜
- 웹상에서 클라리언트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Session과 Cookie를 사용합니다.
저장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Cookie는 브라우저, Session은 db에 저장합니다. 카페,메일,샵 도메인만 맞으면 통과시킵니다.
여러 서비스가 있는 도메인이라면 세션,쿠키가 있어야 합니다.
2. HTTP 요청

-get방식 노출됨
- 사이즈에 제약이 따릅니다. 헤더에 정보를 싣읍니다.
- 보여도 되는, 짧은 정보가 있을때 get방식을 사용합니다.
- 모든 전송방식은 get이 default이다.
- 서버에 뭔가 보여지는 글들은 get방식입니다.

- post 방식
- body에 정보를 싣습니다.
- 정보를 눌러 전송을 누르는 것은 post 입니다.
- 웹브라우저에서 사용가능한 방식은 get, post 입니다.
3. HTTP 응답

- 100, 200, 300, 400, 500번대 응답상태코드가 있습니다.
4.CGI(Common Gateway Interface)

- 단방향 정보전달
- 웹 서버에서 실행 후 클라이언트에게 결과값을 HTML 형태로 전송
- 프로세스 단위로 실행되어 서버부하 발생
프로세스 vs 스레드
- 프로세스 안에 스레드는 일꾼입니다.
- 스레드마다 각 기능을 맡습니다.
5. 서블릿이란?
- 동적 콘텐츠를 생성하는 자바 기반 웹 컴포넌트
- 바이트 코드로 컴파일 된 플랫폼 독립적인 자바 클래스
- 서블릿 컨테이너에 의해 관리
*컨테이너란?

- 특정 영역을 담당하는 요소
- WAS(Tomcat)이 관리합니다.
- 쓰레드를 기반으로 하므로 웹 애플리케이션 운영에 효율적 (장점)
- 자바를 기반으로 하므로 모든 자바 API 사용가능(장점)
7.WAS, VM 상관관계

-java version이 뭐냐에 따라서 tomcat 버젼이 결정됩니다.

- WAS는 JVM기반으로 동작합니다.
8. JSP 내장객체

9. Servlet Workflow

10. Servlet Life Cycle



- factory로 관리합니다. 인스턴스를 재활용합니다.
11. Servlet API

- 다양한 프로토콜은 GenericServlet으로 받습니다.
- Serializable(직렬화) : 객체를 바이트로 인코딩하는 것이다. 반대는 Deserializable(역직렬화) 입니다.
12. class ERD

점선 : implement 상속
마름모: 포함
삼각형 : 상속
13. Request vs Response

14. Servlet 상태코드

- 401 : 비인가됨
- 403 : 클라이언트 문제
- 404 : 클라이언트 문제
- 500 : 백엔드문제
'KOSTA :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개발 전문가 양성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 05/23 28일차 세션 활용 (1) | 2024.05.23 |
|---|---|
| 05/22 27일차 JSP,Servlet,DAO를 이용한 페이지 구현 (0) | 2024.05.22 |
| 05/17 24일차 PreparedStatment, DBCPool (0) | 2024.05.17 |
| 05/14 23일차 JSONParse, JDBC (0) | 2024.05.14 |
| 05/13 22일차 VO, JSON API(json.simple, Jackson) (0) | 2024.05.13 |